

Home_ 병원소개_ 건강칼럼
살 빼려 운동했는데 되레 쪘다면...‘이렇게’ 운동했기 때문
일본 츠쿠바 대학교(university of tsukuba)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고강도 운동의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해 알아봤다. 연구진은 고강도 운동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의 일주기 리듬을 깨뜨려 신체 활동량을 줄이고 체온을 감소시켜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팀은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쥐를 △고강도 운동 △중등도 운동 △휴식 등 세 그룹으로 나누고, 운동 그룹은 강도에 차이를 두고 30분간 러닝머신을 사용하도록 했다. 이후 복강에 삽입된 활동 모니터를 통해 운동 전 2일부터 운동 후 3일까지 이들의 신체 활동량과 체온을 관찰했다. 연구 결과, 고강도 운동군에서는 음식 섭취량에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후 신체 활동량과 체온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기 때문. 특히 깨어 있는 동안 상대적으로 낮은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신체 활동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코르티코스테론은 일주기 리듬을 따르는데, 수면 중 가장 낮고 잠에서 깰 때 최고조에 이른다. 연구진은 “깨어 있는 동안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치가 낮았다는 것은 코르티코스테론의 일주기 리듬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이라며,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운동 중 소모되는 칼로리뿐만 아니라 일주기 리듬 등을 고려해 운동 강도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